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

아차키와 현대 디지털키를 위한 폰은? 갤럭시폰 vs 아이폰



목차


     

    자동차 키를 항상 들고 다니시기 불편하지 않나요? 요즘 자동차 시장에서 키리스(디지털키) 경쟁이 상당한데요.

     

    이런 고객들의 니즈를 위해 애프터 마켓에서 아차키 등 여러 제품들이 나오고 있고, 현기차에서도 계속해서 디지털키를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 아차키같은 제품들을 사도 괜찮을 시기인지와 앞으로 디지털키를 위해 어떤 핸드폰이 좋을지에 대한 정보 알아봅니다.

     

     

    차량 디지털키

    저번 포스팅 때 삼성페이 때문에 아이폰에서 갤럭시폰으로 이동했다는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그만큼 평소에 들고 다니는 짐(지갑 등)이 하나가 준다는 것이 꽤 큰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보통 백을 안들고 다니는 남자한테는 더욱 그럴거 같네요.

     

    주머니가 더 적어지는 여름 복장에서 차키가 하나 줄어들 수 있다는 것도 그와 같습니다.

     

    그래서 이런 고객들의 니즈에 맞춰 애프터 마켓에서 생겨난 제품이 아차키, 더컵, 키플, 아이카 같은 것들인데요.

     

    이런 제품들이 결국은 차키를 들고 다니지 않게 해주는 목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아차키

    이런 제품들 중 가장 공신력있고 판매량이 많은 제품이 아차키로 꼽을 수 있겠는데요.

     

    우선 기아차는 기아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 기업을 창업한 멤버들이 실제 현대기아차 연구진들이라고도 합니다.

     

    현재 애프터마켓 차량 디지털키들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들이 조금씩 비슷한 상황에서 어플 업데이트, 피드백, 보안 등을 고려했을 때 많은 소비자들이 아차키를 선택하는 것으로 보이네요.

     

    실제 디지털키의 원리가 핸드폰의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폰 배터리, 메모리 관리 등이 중요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것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적인 최적화 및 기술 등이 꽤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네요.

     

     

    차량 제조사들의 디지털키 현황

    우선 해외 자동차 제조사들은 아이폰이나 애플워치 등과 협업하여 차량 디지털키를 상용화하는 상황인데요.

     

    최근 BMW 도 IOS가 먼저 서비스되고 뒤이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고객을 위해 디지털 키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반대로 국내 제조사 차량들은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서 먼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가장 진보된 디지털 키 모습은 최근 GV60에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 기술의 차이를 한번 알아볼까요.

     

     

    NFC vs 블루투스 vs UWB

    최근 GV60에서 선보인 기술은 UWB(Ultra-Wideband) 초광대역 기술인데요.

     

    이 기술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같은 전파를 활용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서 고주파 대역을 활용해서 cm 단위까지 거리 측정이 가능한 기술이라고 합니다.

     

    그 전까지 현대기아차에서 선보인 디지털 키는 NFC 기반이어서 차량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려면 핸드폰을 항상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면 그럴 필요가 없게 됩니다.

     

    이런 불편함 때문에 애프터 마켓의 제품들인 아차키 같은 제품들이 인기가 많은데요. 이런 제품들은 블루투스 기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키를 꺼낼 필요가 없습니다.

     

    앞으로 나올 차량 제조사에서 만든 디지털 키가 UWB 방식으로 나오게 된다면 블루투스 보다 진보된 방식이기 때문에 확실히 선택받는 옵션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GV60에서는 얼굴 인식을 통해 차 문을 열 수 있는 기능인 페이스 커넥트 기능을 선보이기도 했는데요.

     

    현대 페이스 커넥트 기능
    페이스 커넥트 기능

     

    하지만 요즘같이 마스크를 쓰는 상황에서는 디지털 키보다 불편한 게 사실입니다.

     

     

    결론

    해외 제조사의 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아이폰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이며, 국내 제조사 차량을 구매한다면 안드로이드 기반인 갤럭시 폰을 구매하는 것이 더 좋아보입니다.

     

    그리고 UWB 방식의 디지털 키의 경우 현재 나오는 모든 신차에 적용되지는 않는만큼 아차키 같은 제품들을 구매하는 것 또한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생각되네요.

     

    만약 내가 구매하려는 차량 옵션에서 UWB 방식의 디지털 키를 선택 가능하다면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삼성페이를 사용해보면 앞으로도 계속 찾는 것처럼 차키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본다면 아마 반드시 디지털 키를 선택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