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어찌보면 다 비슷한 스펙의 TV, 그렇다면 조금 더 이쁜걸 찾게 되는게 사람 심리인데요.
물론 이쁜만큼 가격은 비쌉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디자인티비(액자티비)입니다. 이번에 출시한 삼성 더프레임TV 85인치 실제 구입가격과 전체적인 후기 남겨봅니다,
디자인TV(액자티비)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LG와 삼성이 티비에 있어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데요.
LG는 OLED, 삼성은 QLED로 한 때 맞붙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QNED와 NEO QLED 등 더 다양한 라인업이 생기긴 했습니다.
사실 화질이나 패널 기능적으로 보았을 때는 OLED 의 승인데요. 하지만 그 외에 가격이나 실용성, OLED 번인 문제 등 OLED가 완벽한 정답이라고 볼 수는 또 없습니다.
이렇게 기능적으로는 졌지만, 디자인이나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함에 있어서는 삼성의 디자인 티비들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 더 프레임TV
삼성에서는 TV 뿐 아니라 냉장고나 여러 가전제품에서 비스포크 라는 이름으로 커스텀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실제로 비스포크(Bespoke)은 Been spoken for 에서 유래된 말로 소비자가 직접 옷감을 골라 본인 취향에 맞게 '말한대로' 만들어진 슈트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냉장고부터 티비, 핸드폰까지 비스포크라는 이름으로 커스텀 디자인을 만들어 제공하는 컨셉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이에 맞추어 디자인 TV도 여러 종류 런칭을 하고 있는데요. 더세리프, 더세로, 더프레임TV 들이 그 제품들입니다.
사용후기
저도 이전부터 액자티비인 더 프레임TV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구매해서 약 2년 정도 쓰고 있습니다.
본래 티비가 보통 검정색 베질이어서 화이트 베젤을 찾는 소비자가 꽤 있는데, 이 제품은 화이트 외에도 우드 계열 베젤로 원하는대로 바꿀 수 있는 점이 디자인에 있어 큰 장점입니다.
그리고 원커넥트라는 기능이 있어 전원서도 깔끔하게 정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월마운트 또한 밀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말 그대로 액자와 같은 비쥬얼을 나타내기 충분합니다.
이전 모델의 경우는 원커넥트 박스에는 전원선 연결이 불가해서 전원 연결이 쉽지 않았는데, 업그레이드 된 후부터는 전원부터 모든 연결단자가 원커넥트 박스에 합쳐져서 훨씬 용이해졌습니다.
물론 요즘은 가정에서 대부분 IPTV를 시청하기 때문에 셋탑박스가 존재해서 집 벽면 사이즈에 맞는 선반도 같이 잘 구입해야 진정한 액자티비 비쥬얼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85인치 실제 구매가격
사실 이 제품을 구매하는 분들은 티비의 성능보다도 디자인때문에 구입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비슷한 스펙의 티비와 최저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긴 한데요. 그래도 그 차이가 너무 크다면 소비자에게 외면받을 수 밖에는 없습니다.
더프레임TV 제품은 초창기에는 43, 50, 55, 65 인치 정도만 출시되었는데, 큰 인기를 끌고 판매량이 많아지자 75인치와 최근에는 85인치까지 출시를 하게 되었습니다.
요즘은 TV가 거거익선이라는 말처럼 작은 평수에도 영화관처럼 시청을 하기 위해 큰 사이즈의 티비를 선호하는 추세인데요.
샤오미 등 몇몇 제품들을 제외한다면 85인치 정도가 출시되는 현실적으로 가장 큰 인치의 티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프레임 제품도 같은 제조사 일반 같은 스펙의 티비와 비교할 때 인치가 커질수록 그 가격차이가 커집니다.
삼성 제조사 QLED TV 제품 기준으로 43인치의 제품은 약 50만원 정도, 85인치의 경우는 대략 2백만원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85인치의 국내 출고가는 669만원이지만, 실제 구입가능금액은 540만원 정도이고, 같은 스펙의 일반 티비는 약 340만원 정도입니다.
'유용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비 워터마크 제거, 2023 인증키와 정품인증 무료는 가짜 (0) | 2021.12.16 |
---|---|
85인치 TV와 100인치 대형TV 크기 비교와 화질저하 문제 (0) | 2021.12.15 |
삼성 QLED와 LG QNED, 소비자는 바보가 아니다 (0) | 2021.12.11 |
아차키와 현대 디지털키를 위한 폰은? 갤럭시폰 vs 아이폰 (0) | 2021.12.10 |
iPhone 에서 갤럭시로 이동 한 이유 (0) | 2021.12.09 |
댓글